이와사와 겐키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와사와 겐키치는 일본의 수학자이다. 1917년 군마현에서 태어나 도쿄 대학에서 수학을 전공하고, 1945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 흉막염으로 인해 학업에 복귀한 후 도쿄 대학 조교수를 거쳐, 국제 수학자 대회 강연,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연구,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및 프린스턴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이와사와는 이와사와 이론으로 알려진 사이클로토믹 체에 대한 연구를 발전시켰으며, 리 군과 리 대수를 연구하여 이와사와 분해를 도입했다. 1959년 아사히상, 1962년 콜 상 등을 수상했으며, 1998년 도쿄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수학자 - 고다이라 구니히코
고다이라 구니히코는 일본의 수학자로, 대수기하학 분야에서 변형 이론, 대수곡면 분류, 고다이라 차원, 고다이라 소멸 정리 등의 업적을 남겨 1954년 필즈상을 수상했고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와 여러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수학 대중화에도 기여했다. - 일본의 수학자 - 히로나카 헤이스케
히로나카 헤이스케는 대수다양체의 특이점 해소 정리 증명으로 필즈상을 수상한 일본의 수학자로, 여러 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하고 수학 교육에도 기여했다. - 수론학자 - 조제프루이 라그랑주
조제프루이 라그랑주는 이탈리아 출신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로서 변분법, 라그랑주 역학 등을 개발하고 미터법 제정에 참여하며 18~19세기 수학과 역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에펠탑에 그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 수론학자 - 다카기 데이지
다카기 데이지는 류타이론 확립에 기여하고 힐베르트의 문제 해결에도 공헌한 일본 수학자로, 계수체 이론 발전과 복소 대칭 행렬 연구로 국제적 명성을 얻었으며 수학 교과서 저술 및 문화훈장 수훈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으나, 제2차 세계대전 중 일본군 암호 해독 참여는 논란이 된다. - 일본 학사원상 수상자 - 고다이라 구니히코
고다이라 구니히코는 일본의 수학자로, 대수기하학 분야에서 변형 이론, 대수곡면 분류, 고다이라 차원, 고다이라 소멸 정리 등의 업적을 남겨 1954년 필즈상을 수상했고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와 여러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수학 대중화에도 기여했다. - 일본 학사원상 수상자 - 히로나카 헤이스케
히로나카 헤이스케는 대수다양체의 특이점 해소 정리 증명으로 필즈상을 수상한 일본의 수학자로, 여러 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하고 수학 교육에도 기여했다.
이와사와 겐키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한국어) | 이와사와 겐키치 |
이름 (일본어) | 岩澤 健吉 |
출생일 | 1917년 9월 11일 |
출생지 | 군마현 기류시 |
사망일 | 1998년 10월 26일 |
사망지 | 도쿄도 |
국적 | 일본 |
학력 | |
모교 | 도쿄 제국대학 |
경력 | |
직장 | 마사추세츠 공과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 |
연구 활동 | |
분야 | 수학 |
지도교수 | 이야나가 쇼키치 |
제자 | 로버트 F. 콜먼 라프 그린버그 야스타카 이하라 유진 M. 룩스 귀스타브 솔로몬 로렌스 워싱턴 |
주요 업적 | 이와사와 이론 이와사와 대수 이와사와 분해 이와사와 군 이와사와 로그 이와사와 다양체 이와사와-테이트 이론 카르탕-이와사와-말체프 정리 |
수상 | |
수상 내역 | 후지와라상 (1979년) 콜상 (1962년) 일본 학사원상 (1962년) 아사히상 (1959년) |
2. 생애
이와사와 겐키치는 군마현 기류시 출신으로, 구제 무사시 고등학교와 도쿄 제국 대학(이학부 수학과)을 졸업했다. 도쿄 대학 조교수를 거쳐 1950년 미국으로 건너가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였다. 1987년 일본으로 귀국하였으며, 프린스턴 대학교 명예교수였다. 강의와 강연의 명수로도 유명하다.[5]
2. 1. 유년 시절과 교육
이와사와 겐키치는 1917년 9월 11일 군마현 기류시에서 태어났다.[1] 도쿄도 네리마구의 무사시 구제고등학교(武蔵高等学校일본어, 오늘날의 중2~대학 2학년에 해당, 現 무사시 대학)를 졸업하였다.[1]1937년부터 1940년까지 도쿄 대학에서 학부생으로 공부했으며, 이후 같은 대학의 대학원에 진학하여 수학과 조교가 되었다.[2] 1945년에 도쿄 제국 대학에서 이야나가 쇼키치 아래서 이학 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1] 학위 논문 제목은 "유한군과 그 부분군의 격자에 대하여"이다.[5] 졸업 후 흉막염에 걸려, 1947년 4월에 학업에 되돌아올 수 있었다.[2][1] 1949년부터 1955년까지 도쿄 대학 조교수로 있었다.[1]
2. 2. 학문적 경력
1937년부터 1940년까지 이와사와는 도쿄 대학에서 학부생으로 공부했으며, 이후 같은 대학의 대학원에 진학하여 수학과 조교가 되었다.[2] 1945년에 도쿄 제국 대학에서 이야나가 쇼키치 아래서 이학 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1] 학위 논문 제목은 "유한군과 그 부분군의 격자에 대하여"이다.[5] 졸업 후 흉막염에 걸려, 1947년 4월에 학업에 되돌아올 수 있었다.[2][1] 1949년부터 1955년까지 도쿄 대학 조교수로 있었다.[1]1950년 미국에 초청되어, 이후 2년 동안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에서 있었다.[2] 같은 해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서 열린 국제 수학자 대회에서 데데킨트 제타 함수를 이데알과 아델의 쌍대성을 이용한 적분을 통해 연구하는 방법에 대한 강연을 했다. 이 방법은 존 테이트에 의해서도 독립적으로 얻어졌으며, 때때로 이와사와-테이트 이론이라고 불린다.[1][2] 1952년 봄에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교수가 되었다.[2] 1967년에 프린스턴 대학교로 이전하여 1986년 은퇴할 때까지 수학 교수로 재직했다.[2]
이와사와의 가장 유명한 제자로는 로버트 F. 콜먼, 브루스 페레로, 랄프 그린버그, 구스타브 솔로몬, 래리 워싱턴, 유진 M. 룩스 등이 있다.[1][3]
2. 3. 사망
1998년 10월 26일 도쿄에서 사망하였다.2. 4. 제자
이와사와의 제자로는 로버트 F. 콜먼, 브루스 페레로, 랄프 그린버그, 구스타브 솔로몬, 래리 워싱턴, 유진 M. 룩스 등이 있다.[1][3]3. 주요 업적
이와사와 겐키치는 유한군론의 조합론적 연구와 리 군, 리 대수 연구를 통해 이와사와 분해를 도입했다. 앙드레 베유는 그를 일본인 중 가장 독창적인 수학자라 칭했으며, 그의 업적은 힐베르트의 제5문제 해결에 중요한 공헌을 했다.
1952년 『대수함수론』을 저술한 후 정수론으로 연구 분야를 옮겨 이와사와 이론을 창시하였다.
3. 1. 이와사와 이론
이와사와는 1950년대 후반부터 사이클로토믹 체에 대한 연구에서 발전된, 현재 이와사와 이론이라고 불리는 것을 도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그 이전에는 리 군과 리 대수를 연구하여 일반적인 이와사와 분해를 도입했다.[1]앙드레 베유는 이와사와를 일본인 중 가장 독창적인 수학자라고 칭했으며, 그의 업적은 현저하다.[1] 유한군론의 조합론적 연구에서 시작한 이와사와는 그 후 리 군론으로 옮겨 힐베르트의 제5문제 해결에 본질적인 공헌을 했다.[1]
1952년에 『대수함수론』을 저술한 후 정수론으로 옮겨갔다.[1] 미국으로 건너간 후 1959년, Z -확대의 이론과 이와사와 유수 공식을 발표(이와사와 이론의 창시).[1] 이 공식은 계열적인 대수적 체의 유수를 통일적으로 기술한 거의 최초의 것으로서 그 자체로 경이로운 것이었지만, 그 후에도 그 의미를 추구해 나간 이와사와는 1960년대 중반, L 함수의 특수값의 p영어진적 성질과 아이디얼 유군 구조를 연결하는 이른바 이와사와 주 추측(Main conjecture of Iwasawa theory) 에 도달했다.[1] 이 대수적 객체와 L 함수의 값의 p영어진적 성질과의 관계라는 문맥은 다양한 대상에 일반화되어 현재는 수론의 중심 과제 중 하나가 되었다.[1]
오리지널 이와사와 주 추측은 현재 당연하게 다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그 독창적인 측면이 의식되는 경우는 적어졌을지도 모른다.[1] 당시 이미 수론의 중심은 대수기하적 수법으로 옮겨가고 있었고 대수적 정수론은 잊혀져가는 경향이었지만, 이와사와는 새로운 관점에서 그것을 되살렸다.[1] 일본에서도 수론기하가 중심인 경향은 변함이 없어, 이와사와의 업적은 오랫동안 주목받지 못했다.[1] 이와사와 주 추측이라고 명명한 것은 존 코츠이다.[1]
3. 2. 리 군 연구
이와사와는 1950년대 후반부터 사이클로토믹 체에 대한 연구에서 발전된, 현재 이와사와 이론이라고 불리는 것을 도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이전에는 리 군과 리 대수를 연구하여 일반적인 이와사와 분해를 도입했다.[1]1952년에 『대수함수론』을 저술한 후 정수론으로 옮겨갔다. 미국으로 건너간 후 1959년, Zp-확대의 이론과 이와사와 유수 공식을 발표(이와사와 이론의 창시). 이 공식은 계열적인 대수적 체의 유수를 통일적으로 기술한 거의 최초의 것으로서 그 자체로 경이로운 것이었지만, 그 후에도 그 의미를 추구해 나간 이와사와는 1960년대 중반, L 함수의 특수값의 p진적 성질과 아이디얼 유군 구조를 연결하는 이른바 이와사와 주 추측(Main conjecture of Iwasawa theory) 에 도달했다.[1] 이 대수적 객체와 L 함수의 값의 p진적 성질과의 관계라는 문맥은 다양한 대상에 일반화되어 현재는 수론의 중심 과제 중 하나가 되었다.[1]
3. 3. 기타 업적
이와사와 겐키치는 사이클로토믹 체에 대한 연구를 발전시켜, 현재 이와사와 이론이라고 불리는 것을 도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이전에는 리 군과 리 대수를 연구하여 일반적인 이와사와 분해를 도입했다.[3]앙드레 베유는 이와사와 겐키치를 일본인 중 가장 독창적인 수학자라고 칭송했다.[3] 유한군론의 조합론적 연구에서 시작한 이와사와는 그 후 리 군론으로 옮겨 힐베르트의 제5문제 해결에 본질적인 공헌을 했다.[3]
1952년에 『대수함수론』을 저술한 후 정수론으로 연구 분야를 옮겼다.[3] 미국으로 건너간 후 1959년, Z-확대의 이론과 이와사와 유수 공식을 발표하여 이와사와 이론을 창시했다.[3] 이 공식은 계열적인 대수적 체의 유수를 통일적으로 기술한 거의 최초의 것으로서 그 자체로 경이로운 것이었지만, 이와사와는 그 후에도 그 의미를 추구하여 1960년대 중반, L 함수의 특수값의 p진적 성질과 아이디얼 유군 구조를 연결하는 이와사와 주 추측(Main conjecture of Iwasawa theory) 에 도달했다.[3] 이 대수적 객체와 L 함수의 값의 p진적 성질과의 관계라는 문맥은 다양한 대상에 일반화되어 현재는 수론의 중심 과제 중 하나가 되었다.[3]
이와사와 주 추측은 현재 당연하게 다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그 독창적인 측면이 의식되는 경우는 적어졌을지도 모른다.[3] 당시 이미 수론의 중심은 대수기하적 수법으로 옮겨가고 있었고 대수적 정수론은 잊혀져가는 경향이었지만, 이와사와는 새로운 관점에서 그것을 되살렸다.[3] 일본에서도 수론기하가 중심인 경향은 변함이 없어, 이와사와의 업적은 오랫동안 주목받지 못했다.[3] 이와사와 주 추측이라고 명명한 것은 존 코츠이다.[3]
4. 수상 및 강연
연도 | 수상 및 강연 |
---|---|
1950년 | ICM 1950 캠브리지(미국) 초청 강연[6] |
1959년 | 아사히상 |
1962년 | 콜 상 (수론 부문), 일본 학사원상 |
1970년 | ICM 1970 니스 초청 강연[6] |
1979년 | 후지와라상 |
5. 저서
이와사와 겐키치는 《代数函数論|대수함수론일본어》과 《局所類体論|국소유체론일본어》을 일본어로 저술했으며, 이 책들은 영어로도 번역되었다. 그 외 저서로는 《p-진 L-함수 강의》, 논문집으로는 《이와사와 겐키치 논문집》 등이 있다.
5. 1. 일본어 저서
이와사와 겐키치는 《代数函数論|대수함수론일본어》과 《局所類体論|국소유체론일본어》을 일본어로 저술하였다. 이 책들은 영어로도 번역되었다.5. 2. 영어 번역본
이와사와 겐키치는 일본어로 《대수함수론》(代数函数論일본어)과 《국소유체론》(局所類体論일본어)을 저술했으며, 이 책들은 영어로도 번역되었다.[4]- 《국소류체론》(Local Class Field Theory): 1986년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에서 출간되었다.[4]
- 《대수 함수》(Algebraic functions): 1993년 미국 수학회에서 출간되었다.
5. 3. 논문집
제목 | 출판 연도 | 출판사 | ISBN |
---|---|---|---|
p-진 L-함수 강의 | 1972 | ||
국소류체론[4] | 1986 | 0-19-504030-9 | |
대수 함수 | 1993 | 0-8218-4595-0 | |
논문집. 제 I, II권 | 2001 | Springer-Verlag | 978-4-431-70314-3 |
이와사와 겐키치 논문집 1, 2 | 2001 | 스프링거 | 4431703144 |
참조
[1]
간행물
Kenkichi Iwasawa (1917–1998)
https://www.ams.org/[...]
1999-11
[2]
웹사이트
120 minutes at the house of Professor Kenkichi Iwasawa
https://sites.math.w[...]
2021-09-25
[3]
문서
MathGenealogy
[4]
간행물
Review of ''Class field theory'' by Jürgen Neukirch and ''Local class field theory'' by Kenkichi Iwasawa
[5]
문서
博士論文書誌データベース
[6]
웹사이트
ICM Plenary and Invited Speakers 国際数学者連合公式サイト(英文)
https://www.mathuni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